티스토리 뷰

ELK 스택

ELK 설치(윈도우)

jhyunnn 2022. 11. 3. 13:58

이번 포스팅은 ELK를 설치면서

windows로 진행한 설치 포스팅입니다.

 

 

1. ELK 란?사용버전 : OSS 7.10.2

중요한건 버전을 맞춰야지만 제대로 동작할거예요! 아마도ㅎㅎ

 

2. 설치

https://www.elastic.co/kr/downloads 접속

해당 경로에서 Summary-View past releases 클릭

 

Elasticsearch OSS 7.10.2
Kibana OSS 7.10.2
Logstash OSS 7.10.2

다운 받은 후, 설치하고자 하는 폴더를 선택 후, 파일을 다운, 압축해제를 해주세요!

경로가 다 다르겠지만 중요한 것은 bin아래에 있는 elasticsearch.bat을 실행시키는 것 입니다.

직접 실행하거나 cmd 에서 실행해도 됩니다.

여기서 config 파일을 수정해줘야하는데 cluster.name, node.name, network.host, http.port, cluster.initial_master_node 등을 수정 해주시면 됩니다.

크롬 등에서 직접 localhost:9200 하거나 cmd 에서 curl 명령어로 확인이 가능합니다.

위 화면이 나오면 엘라스틱서치가 정상적으로 실행한 화면입니다.

elasticsearch와 마찬가지로 kibana또한 bin 폴더의 kibana.bat을 실행시킵니다.

localhost:5601 로 접속합니다. 여기서 config에 kibana.yaml 을 확인해보면 저는 server.port, elasticsearch.hosts만 맞춰놓고 진행했습니다. 

server.port: 5601
elasticsearch.hosts: ["http://localhost:9200"]

kibana 접속화면

정상적으로 동작 확인은 Add data 클릭 후 Management - Dev Tools 클릭

그 다음에 GET _cat/indices?v 실행하면 됩니다!

 

마지막으로 Logstash 입니다. 실행할때는, bin아래에 있는 logstash.bat을 바로 실행시키는 것이 아니라 cmd 창에서 진행해줘야합니다. 

 

이동 후, 위 명령어로 실행하는데 저는 conf 파일을 수정했습니다.
기본 Sample
Mariadb 연결한 config 설정

위 사진처럼 Mariadb을 사용하고자 할때는 mariadb-java-client-x.jar 파일이 있어야합니다.

해당 파일을 logstash/lib 아래에 넣어줘야지 위에 conf 파일처럼 사용이 가능합니다!

실행하는 명령어는 제 기준으로 cmd 창에서

%ES_HOME%\bin\logstash.bat -f %ES_HOME%\config\logstash-test.conf 를 실행해주시면 됩니다!!

 

다음에 localhost:5601 Dev Tools 에서 

하거나 cmd 창에서 아래와 같이 하면 테스트 가능합니다!

 

VERIFY INDEX 

curl -XGET http://localhost:9200/인덱스명?pretty

 

CREATE INDEX 

curl -XPUT http://localhost:9200/인덱스명

 

DELETE INDEX

curl -XDELETE http://localhost:9200/인덱스명

 

CREATE DOCUMENT

{

    "title" : "Algorithm",

    "professor" : "John"

}

curl -XPOST http://localhost:9200/인덱스명/타입명/id값/ -d '{"title": "Algorithm", "professor" : "John"}'

 

CREATE INDEX, TYPE, DOCUMENT FROM FILE

oneclass.json

{

     "title" : "Machine Learning",

     "Professor" : "LJH",

     "major" : "CS",

     "semeter" : ["spring", "fall"],

     "student_count" : 100,

     "unit" : 3,

     "rating" : 5

}

 

curl -XPOST http://localhost:9200/classes/class/1/ -d @oneclass.json

 

** 만약에 플러그인 추가를 한다면 버전을 꼭 확인해주시고 하는 방법은 명령어만 남겨놓을게요

이전에 깔린건 지우고 진행해주시면 될거예요

elasticsearch-plugin install file:///C:파일경로\****-plugin-***.zip 

 

아래 명령어로 리스트 확인, 삭제

elasticsearch-plugin list 

elasticsearch-plugin remove

 

끝. 다음에는 더 배워서 정리하겠습니다.(리눅스는 설정 잡고 이러는거 빼고는 비슷합니다~)
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글 보관함